SIEM(SIEM,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솔루션은 과거에는 대기업만을 위한 고급 보안 도구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모든 조직의 보안 체계에서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보안 체계를 강화하려는 중견기업에게는, 막대한 예산 없이도 효과적인 SIEM 솔루션을 선택하고 도입하기 위한 신중한 평가가 요구됩니다.
이 글에서는 중견기업이 SIEM 솔루션을 선택하고 도입하기 전에 반드시 검토해야 할 4가지 핵심 요소를 소개합니다.
1. 배포 모델: 클라우드 vs 온프레미스
중견기업은 복잡한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유지할 인프라나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고려사항:
- 클라우드 기반 SIEM(예: Microsoft Sentinel, Sumo Logic): 설치와 유지가 쉬우며 확장성 뛰어남
- 온프레미스 SIEM: 데이터 통제에 유리하지만 내부 자원 요구도 큼
- 하이브리드 모델: 규제가 많은 산업에 적합, 일부 온프레미스 보안 계층 필요 시 사용
자신의 IT 역량과 규제 요구사항에 맞는 배포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2.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용이성
SIEM의 가치는 얼마나 많은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기존 보안 도구들과 잘 통합되지 않으면 SIEM의 실효성은 크게 떨어집니다.
주요 연동 대상:
- 방화벽, 엔드포인트 보안, 인증 시스템 (예: Azure AD, Okta)
- 클라우드 플랫폼 (AWS, Azure, GCP)
- 생산성 도구 (Microsoft 365, Google Workspace 등)
사전 구성된 커넥터, API, 커뮤니티 지원이 활발한 솔루션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세요.
3. 라이선스 모델과 비용 예측 가능성
비용은 중견기업에게 있어 SIEM 선택에서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입니다. 특히 로그 볼륨 기준 과금 방식은 사용량 예측이 어려워 예산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비용 관리 전략:
- 사용량 기반보다는 정액제 또는 계층형 요금제를 선호
- 예산이 제한적일 경우 Wazuh, Graylog 등 오픈소스 SIEM 고려
- 교육, 운영 인력, 튜닝 소요 시간 등 숨은 비용까지 포함해 예산 계획 수립
비용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안정적인 도입과 운영의 핵심입니다.
4. 내장 분석 기능과 위협 인텔리전스
최근의 SIEM 솔루션은 단순한 로그 수집을 넘어, 위협 탐지, 행위 분석, 자동 대응까지 제공합니다.
꼭 챙겨야 할 기능:
- 상관 관계 기반 탐지 규칙, 이상 탐지 기능
- 외부 신뢰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위협 인텔리전스 피드
- 사용자 정의 가능한 대시보드와 경고 조정 기능
지능형 분석 기능은 수작업을 줄이고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결론
중견기업에게 있어 SIEM 솔루션 도입은 전략적이자 운영적인 결정입니다.
배포 방식, 연동 용이성, 비용 구조, 지능형 분석 기능이라는 4가지 요소를 중점적으로 평가하면, 과도한 리소스 소모 없이도 보안 가시성을 높이고 방어 체계를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